[데이크루] 2주차 활동 일지
정말 갑작스럽게 (OT주부터 활동했다...) 데이크루를 시작하고 벌써 2주가 지났다
1주차에는 컨텐츠 고민을 많이 했는데
2주차에는 내가 회사에서 프로젝트로 다루었던 U-Net에 대한 설명 및 구현 시리즈로 포스팅했다
3개월 정도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열심히 배워놓은 내용이라서 어렵지 않게 썼던 것 같다.
데이콘에서 열리는 대화와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어서 많은 사람들이 보진 않았지만
그래도 내가 공부한 내용을 (까먹기 전에라도) 정리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나름대로 설명을 달아보려고 했는데 시간이 많지 않아서 최소한의 설명만 달아놓았다.
댓글을 통해서 피드백이 달리면 더 꼼꼼하게 수정해서 올려야겠다.
다른 데이크루 분들도 열심히 유용한 게시글들을 많이 올리고 계시다.
하나 하나 꼼꼼하게 읽어보고 실제로 내가 코드도 실행해보고 싶은데 짬이 않는다...
그래도 큰 컨셉이나 트렌드에 대해서는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1주차부터 데이콘 커뮤니티 활동을 하면서 유저로서 그리고 데이크루로서 불편했던 점들을 정리해 놓았었다.
나는 주로 플랫폼에 대한 피드백이었는데 다른 분들은 플랫폼을 넘어 컨텐츠에 대한 아이디어까지 내고 계신 것 같아서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활동하다가 좋은 아이디어가 생각나면 적어놓아야겠다.
오늘 한 주의 시작인데 이번주에는 내가 배운 내용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정성껏, 꾸준하게 활동하자. 이번주도 홧팅!
아래는 내가 2주차에 올린 게시글이다.
-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2탄. 모델 구조]
https://dacon.io/forum/405845?utm_source=dacrew&utm_medium=427790&utm_campaign=dacrew_1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2탄.모델 구조]
dacon.io
-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3탄. 훈련 과정 특이점]
https://dacon.io/forum/405849?utm_source=dacrew&utm_medium=427790&utm_campaign=dacrew_1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3탄.학습 과정 특이점]
dacon.io
-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4탄. 모델 구현]
https://dacon.io/codeshare/4245?utm_source=dacrew&utm_medium=427790&utm_campaign=dacrew_1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U-Net 모델 [4탄. 모델 구현]
dacon.io
* 본 포스팅은 데이콘 서포터즈 “데이크루" 1기 활동의 일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