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활동/데이크루 1기

[데이크루] 1기 합격 후기 (자소서/면접)

동하조하 2022. 1. 11. 18:04

멋쟁이사자처럼 프로젝트로 주차 수요 예측 대회에 참여한 이후에 데이콘에 들락날락하다가 알게 된 대외활동

바로 데이크루(DACrew) 1기!

안그래도 방학 계획이 연구실 컨택/인턴 열심히? 하기 밖에 없던 나에게 좋은 기회다 싶었다.

대상이 AI, DS에 대한 배움의 열정이 강하고, 8주동안 성실하게 활동할 수 있는 사람...? 완전 나야나.

바로 지원서 쓰기에 돌입했다. 각종 교육 프로그램, 인턴에 지원하려고 썼던 자소서 짬밥을 여기서 발휘했당

 

지원서

구글 폼으로 작성

질문은 딱 세가지 1) 자기소개 2) 지원동기 3) 서포터즈로 이루고 싶은 바

추가로 개인 SNS/블로그/깃허브 주소를 입력

서포터즈 활동 내용 중 '주 1회 개인 SNS에 활동 일지 작성'하는 것이 있어서 필수적이다

 

되도록 성실하게(정성/정량+진실) 그리고 핵심적으로 작성했다. 

각 항목당 500~600자 정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지원서를 보실테니 돌려 말하지 않고 최대한 핵심만 간결하게 알 수 있도록 작성했다.

'자기소개' 항목에는 내가 그동안 해왔던 것(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것만)과 추구하는 가치,

'지원동기' 항목에는 데이콘에 참여했던 경험과 그로부터 배운 점, 

'서포터즈로 이루고 싶은 바' 항목에는 서포터즈 활동에 맞는 목표를 적었다. 

 

서류가 통과되면 면접 일정 조율을 위한 이메일을 받는다.

가능한 일정을 정해서 회신하면 일정을 확정지어서 답변을 주신다.

시간에 맞춰서 온라인 미팅에 참가

 

면접

면접을 보기 전에 예상 질문을 만들어서 답변을 준비했다.

내가 예상한 질문은 자기소개, 지원동기, 나의 장단점, 목표.

모두 지원서에 나왔던 항목이라서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면접이니 조금 더 짧고 핵심만) 준비했다.

면접은 예상한 질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 간단하게 자기소개

2. 데이크루에 왜 지원하였는지

3. 데이크루에 어떻게 기여하고 싶은지 

4. 데이크루에 얼마나 투자할 수 있는지

 

3번 질문은 예상한 질문은 아니지만 미리 생각해 놓은 내 장단점을 엮어서 설명했던 것 같고,

4번 질문은 한량인 나에겐 너무 쉬운 질문이라서 '데이크루가 1순위입니다...!'라고 했다. (당차네)

 

아무튼 면접을 준비한 만큼 봤고 그 다음날 바로 선발 결과를 이메일로 알려준다.

결과는 합.격.

 

데이크루 활동

데이콘에서 대회만 참여해봐서 한국형 Kaggle이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OT를 들어보니 데이콘을 대회 주최 플랫폼과 동시에 stackoverflow나 github 같은 커뮤니티 형식으로 발전시켜나가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계셨다. 내 생각에도 아직까지 한국에서 DACON만한 플랫폼이 없는 것 같아서 끄덕여졌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크루가 게시글을 작성하고 SNS을 통해 홍보하는 활동을 맡게 되었다.

첫 대외활동이니 성실히 활동해서 잘 마무리했으면 좋겠다.

 

본 포스팅은 데이콘 서포터즈 “데이크루" 1기 활동의 일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