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공부
[git] 맥에서 git 설치 및 사용방법
동하조하
2021. 5. 28. 17:24
0. homebrew 및 git 설치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1) 맥북 intel 칩일 경우,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2) 맥북 m1 칩일 경우,
/bin/bash -c "$(curl -fsSL https://gist.githubusercontent.com/nrubin29/bea5aa83e8dfa91370fe83b62dad6dfa/raw/48f48f7fef21abb308e129a80b3214c2538fc611/homebrew_m1.sh)"
cf. brew 위치/버전 확인
which brew # 위치
brew --version # 버전
3) git 설치
brew install git
1. 초기설정
1) 깃허브 계정에서 repository 생성
✔️ 프로젝트용이라면 설명을 위해 'Add a README file' 선택 / 생성 이후에도 README 파일 추가할 수 있음
2) 맥에서 working directory 생성 및 진입
mkdir (directory_name)
cd (directory_name)
3) 맥에서 working directory를 깃허브에 연동하기
-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ID@example.com"
- 깃 저장소 생성
git init
2. 작업수행
0) working directory에 remote repository 깃허브로 보낼 파일 생성/저장
1) staging area 로 보내기
git add * # 새로 생성된 모든 파일
git add (파일명) # 해당 파일
2) 파일에 대한 설명을 local repository로 보내기
git commit -m "(파일 설명)"
3) 원격으로 remote repository에 연결하기 (최초 1회만)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repository url)"
3-1) remote repository 이름을 깃허브에서 변경하였을 경우
git remote set-url origin "(new url)"
4) remote repository 깃허브로 내보내기
git push -u origin master # 최초 1회만
git push # 이후에
매수업 때 공부한 내용이나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려야겠다.
오늘 공부 끝-!